연구소 구성원


사업단 HK연구인력 

김강식 / HK교수, 문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75 

연구실 : 평생교육관 312호

이메일 : ks1592@hanmail.net


약력

● 학력
·부산대학교 사학과 학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 경력
·부산시사편찬위원회 위원(2007.03~현재)
·동서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조교수(2010.04~2013.08)
·동명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전임강사(2006.03~2009.02)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2002.08~2005.07)
·경성대, 한국해양대, 부산대, 부경대, 동서대, 영산대 강사(1991.03~2006.02)

연구관심분야


한국근세사, 한일문화교섭사, 임진왜란사, 조선정치사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조선시대 표해록 속의 표류민과 해역 (선인, 2018)
·국난기 성주의 대응과 극복 (성주문화원, 2018)
·정유재란사 (재단법인 임진정유 동북아평화재단, 2018)
·경북지역 임진란사 연구 1~3권 (사단법인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2018)
·조선시대 해항도시 부산의 모습-군항과 해항- (선인, 2018)
·단절과 이음의 해항도시 단둥 (선인, 2018)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1~2 (선인, 2018)
·대구지역 임진란사 (사단법인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2017)
·일기를 통해 본 양반들의 일상세계 (한국국학진흥원, 2017)
·연안방어의 긴요한 고을, 기장 (정관박물관, 2016)

● 논문
·임진왜란기 양무공 김태허의 활동과 의미 (한국민족문화 67, 2018.05)
·Globalization of Sea Area of Northeastern Asia in 14-16th Centuries : Focusing on the Japanese Pirates (多文化社會硏究 2018-4, 2018.03)
·남명 조식의 치국론과 의미 (남명학 23, 2018.03)
·임진왜란 시기 일옹 최희량의 활동과 기억 (이순신연구논총, 2017.12)
·『漂人領來謄錄』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역사와경계 103, 2017.06)
·李志恒 『漂舟錄』 속의 漂流民과 海域 세계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6, 2017.04)
·조선후기에 해항도시 부산에서의 문화교섭 양상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4, 2016.04)
·壬辰倭亂을 바라보는 한국과 일본의 시각 (지역과 역사 38, 2016.04)
·『표인영래등록』속의 제주도 표류민과 해역 (탐라문화 51, 2016.02)






김 승 / HK교수, 문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77 

연구실 : 평생교육관 314호

이메일 : namsan386@hanmail.net


약력
● 학력
·부산대학교 사학과 학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 경력
·울산과학대, 밀양대, 부산대, 부경대, 경성대, 부산외대, 신라대, 동의대, 동서대, 창원대, 부산교대 강사 역임(1992.3~2009.2)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연구교수(2005.9~2008.8)
·부산대학교60년사 편찬위원회 편수 및 간사(2004.10~2006.3)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연구교수(2003.9~2004.11)

연구관심분야

한국근현대시기 도시사, 해항도시 문화교섭사, 지역사, 민족운동사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1 (선인, 2018)
·일선통교부산근대기 (선인, 2018)
·다롄, 환황해권 해항도시 100여 년의 궤적(선인, 2016)

● 논문
·일제시기 다사도항 개발과 신의주·다사도간 철도부설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8, 2018.04)
·일제시기 국경도시 신의주의 인구변동과 도시공간의 변화 (로컬리티인문학, 2018.04)
·일제시기 어시장 현황과 어시장 수산물의 유통 (역사와경계 105, 2017.12)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생산된 수산물의 수이출 동향 (역사와경계 103, 2017.06)
·식민지시기 부산의 수산가공업과 수산가공품 현황 (역사와경계 101, 2016.12)
·식민지시기 부산지역의 수산물 어획고와 수산업인구 동향 (역사와 경계 99, 2016.06)






노영순 / HK교수, 역사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76

연구실 : 평생교육관 313호

이메일 : nhoys@kmou.ac.kr


약력● 학력
·숙명여자대학교 문학사
·고려대학교 문학석사
·런던대(SOAS) 역사학박사

● 경력
·동양사학회 편집위원(2009.09~)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원 (2000.01~2009.10)
·호찌민시 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방문학자 (2009.01~08)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전문위원 (2005.08~2008.09)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CNRS) 교류학자 (2003.06~08)

연구관심분야

동남아시아 해항도시와 해양문화, 해양과 코즈모폴리턴 커먼즈, 해상난민과 보트피플

주요 연구활동● 저역서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II (선인, 2018)
The Pacific Ocean (선인, 2016)
La Mediterranee asiatique (선인, 2016)

● 논문
·20세기 전반기 중국과 베트남 간의 지리적/인적/물적 경계의 변화
(아시아연구 21-2, 2018.05)
·태평양 해역의 해양경계 획정과 해양영토 분쟁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8, 2018.04)
·캐나다 오타와와 호주 브리즈번의 베트남보트피플기념비와 베트남인공동체 (인문사회과학연구 19-1, 201802)
·동아시아 베트남난민 수용과 각국과 난민 정책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6, 2017.04)






안미정 / HK교수, 문화인류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78

연구실 : 평생교육관 315호

이메일 : gasirian@hanmail.net                              gasirian@kmou.ac.kr


약력
● 학력
·제주대학교 문학사
·제주대학교 대학원 문학 석사(사회학)
·한양대학교 대학원 인류학 박사(문화인류학)

● 경력
·국토교통부 국가지명위원회 위원 (2013.01.~현재)
·제주시정발전포럼 문화관광분과위원회 위원 (2011.06~2013.05)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 외래연구원 (2008.09~2009.03)
·한양대학교 강의 (2004.03~2004.12; 2007.03~2007.06)
·그리스도 신학대학, 동덕여자대학교 강의(2003.03~2003.12)
·제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교사(1998~2001)

연구관심분야


사회인류학, 해양문화론, 동아시아 문화변동, 한·일 해녀문화, 생애사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2 (선인, 2018)
·해양문화와 해양거버넌스 (선인, 2013)
·경계를 넘다 : 술루 해역세계의 사람들 (선인, 2013)

● 논문
·한국선원의 역사와 특징 (인문사회과학연구 19-1, 2018.02)
·해양 전통의 발명- 일본의 해녀(아마)와 미키모토 진주의 상징 정치 (동북아문화연구 51, 2017.06)
·한국의 다문화사회론과 정주자로서 화교: 정체성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5, 2016.01)
·우리나라 다문화 가족의 지역사회 적응과 그 영향요인 (지방행정연구 30-2, 2016.06)
·식민지시대 한·일해역의 자원과 해녀의 이동 (한국민족문화 58, 2016.02)






우양호 / HK교수, 행정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65

연구실 : 평생교육관 306호

이메일 : woo8425@hanmail.net                              


약력
● 학력
·부산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행정학과)

● 경력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교수(2012.03~현재)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2009.03~2012.02)
·부산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영산대, 한국해양대 시간강사
·부산대학교 지방행정연구소 특별연구원
·부산발전연구원 위촉연구원
·대한민국 육군(대위: 2002.06 전역)

연구관심분야

도시 및 지방행정, 해양행정 및 정책, 국제교류 및 대외협력, 글로벌지역연구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바다의 경계를 넘다: 세계의 해양 네트워크 (선인, 2018)
·현대 해항도시의 이론과 실제 (선인, 2016)

● 논문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위한 신남방정책과 그 의미 (21세기정치학회보, 2018.03)
·카리브해의 해역네트워크와 도서국가의 지역적 통합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8, 2018.04)
·지역협력과 공생을 향한 해항도시 네트워크: 아시아와 유럽의 성공모델 비교 (지방정부연구 21-4, 2018.02)
·북해(北海)' 해역권의 형성과 월경적 협력체제의 구축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7, 2017.10)
·북극해(北極海)를 둘러싼 초국경 경쟁과 지역협력의 거버넌스 (지방정부연구 21-1, 2017.05)
·접경된 해항도시들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5, 2016.10)
·동해(東海)의 출구를 둘러싼 다국적 경쟁과 협력의 구조 (지방정부연구 20-1, 2016.05)
·해항도시(海港都市)의 해양산업 실태와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3-1, 2016.04)






이수열 / HK교수, 비교사회문화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79

연구실 : 평생교육관 316호

이메일 : sosoyo78@hanmail.net

                              


약력
● 학력
·일본 와세다대학 문학사
·일본 와세다대학 대학원 문학석사
·일본 규슈대학 대학원 비교사회문화박사

● 경력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2008.08~2009.03)

연구관심분야


일본근현대사, 동아시아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일본지식인의 아시아 식민지도시 체험 (선인, 2018)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Ⅰ, Ⅱ (선인, 2018)
·단둥, 단절과 이음의 해항도시 (선인, 2018)
·바다의 세계사 (선인, 2017)
·다롄, 환황해권 해항도시 100여 년의 궤적 (선인, 2016)

● 논문
·朝鮮植民二世の意識構造 (21世紀東アジア社会学 9, 2018.03)
·식민지 시기 신의주의 일본 제지업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7, 2017.04)
·‘아시아 경제사’와 근대일본 (역사학보 232, 2016.12)
·‘아시아 교역권론’의 역사상 (한일관계사연구 48, 2014.08)






최낙민 / HK교수, 문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80

연구실 : 평생교육관 317호

이메일 : qiushui@kmou.ac.kr                              


약력
● 학력
·부산대학교 문학학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중국 복단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 경력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교수 (2009)
·한국해양대학교 연구원 (2002)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2001)

연구관심분야
한국현대문학, 지역문화, 해항도시의 공간정치학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삼파집: 마카오 성바오로성당 중국인 신부의 노래 (선인, 2018)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1-2 (선인, 2018)
·단절과 이음의 해항도시 단둥 (선인, 2018)
·(동아시아 바다를 중심으로 한) 해양실크로드의 역사 (선인, 2018)

● 논문
·吳漁山의 『三餘集』에 나타난 天學詩 硏究 (중국학 62, 2018.03)
·玄卿駿의 작품을 통해 본 國境都市 圖們 (중국학 61, 2017.12)
·예수회 신부 吳漁山의 ‘十年海上’ 사목활동과 天學詩 고찰 (중국학 59, 2017.06)
·일제 강점기 安東을 통한 조선인의 이주와 기억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6, 2017.04)
·吳漁山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고찰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4, 2016.04)
·吳漁山의 『三巴集』에 나타난 天學詩 硏究 (중국학 54, 2016.03)






현재열 / HK교수, 문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74

연구실 : 평생교육관 305호

이메일 : varlin@hanmail.net                             


약력
● 학력
·부산대학교 문학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 경력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2009.3~2012.02)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2002.8~2005.7)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2001.8~2002.7)
·부산대학교, 창원대학교, 울산대학교, 신라대학교 등 비정규교수(1992.3~2009.2)

연구관심분야

프랑스근현대사(파리코뮌), 글로벌히스토리, 도시사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근대 일본 해항도시의 공간형성 과정 연구: 비교도시계획 연구의 관점에서(선인, 2018)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I・II (선인, 2018)
·(동아시아 바다를 중심으로 한) 해양실크로드의 역사(선인, 2018)
·대서양: 바다와 인간의 역사(선인, 2017)
·바다의 세계사(선인, 2017)

● 논문
·‘대서양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폴 뷔텔의 󰡔대서양󰡕에 기초하여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8, 2018.04)
·해항도시 하코다테(函館)의 근대 도시공간 형성과정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6, 2017.04)
·19세기-20세기 초 오사카의 도시공간 변화와 도시정비 과정 (동북아문화연구 50-1, 2017.03)
·현재의 글로벌화는 ‘1571년’에 시작되었는가? (서양사론 132, 2017.03)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본 요코하마(橫浜) 개항장의 건설과정 (로컬리티인문학 16, 2016.10)
·제국 일본 도시계획가들의 도시사상-도시계획의 네 ‘개척자’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역사 사회 문화 16권, 2016.10)





권경선/ HK교수, 문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5271

연구실 : 평생교육관 302호

이메일 : plumgirl@hanmail.net                             


약력
● 학력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학사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문학석사
·일본 고베대학 인문학연구과 사회동태전공 문학박사

● 경력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2012.06~2018.01)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 (2018.02~2018.09)

연구관심분야

동아시아 도시사, 사회사, 이주사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 (소명출판, 2018)
·단절과 이음의 해항도시 단둥 (선인, 2018)
·다롄, 환황해권 해항도시 100여 년의 궤적 (선인, 2016)

● 논문
·근대 동북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노동자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9, 2018.10)
·근대 동북아해역 해항도시 기반 연구: 랴오둥 반도 잉커우(營口)의 산업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9-2, 2018.05)
·제1차 세계대전 시기 칭다오를 통한 산둥노동자의 이동과 그 의의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7, 2017.10)
·근대 해항도시 안둥의 산업구조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6, 2017.04)
·식민지도시 다롄과 주민의 생활공간 (역사와경계 98, 2016.03)






최진이/ HK연구교수, 법학박사

소속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연락처 : 051-410-4724

연구실 : 평생교육관 304호

이메일 : jinilaw@nate.com

                            


약력
● 학력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해사법학과)

● 경력
·법원 전문심리위원(2015~현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성별영향평가 컨설턴트/성평등강사(2012~현재)
·한국해양대 학술연구교수(2015.07~2018.06)
·영도구 여성친화도시조성위원회 위원(2014~2017)
·한국해양대 초빙교수(2012.04~2014.12)

연구관심분야

상사법, 해사법, 해양정책, 여성정책, 성평등, 젠더이슈

주요 연구활동
● 저역서
·물류법강의(2018)
·현대사회의 여성과 법률 (다솜출판사, 2016)

● 논문
·유엔해양법협약(UNCLOS)상의 이어도의 법적 지위와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연구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8, 2018.04)
·화물자동차 운임제도와 운임결정방식의 쟁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20-4, 2017.02)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요금 인가제가 항만운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19-4, 2016.02)